반응형 Git & Github6 GitHub에 파일 올리는 두 가지 방법: Git 사용 vs 직접 업로드 요즘 포폴정리한다고 맨날 github들어가서 한 번 정리해보는 github에 파일 올리기 그래서 한 번 정리해봤다 Git 사용1. Git 저장소(clone) 가져오기git clone [저장소 URL] 2. 저장소 폴더로 이동cd 리포 이름으로 작성 3. PDF 파일을 해당 폴더로 복사 (탐색기로 직접 이동 가능)move "불러오고 싶은 파일 경로" "로컬에 생긴 리포 경로"#윈도우는 move 사용 4. 파일 추가 & 변경 사항 반영git add "파일명.형태"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5. GitHub에 업로드 (Push)git push origin main는 성공인데.. 이렇게 에러난다보니까 내가 아까 직접 파일을 올렸는데 그게 내 로컬에 반영되지 않아서 충돌이 발생.. 2025. 2. 12. visual studio code에 github 소스 가져오기 1. visual studio code 실행하기 2. ctrl + shift + p > git clone Git: 클론 클릭 > Github복제 그럼 github랑 연동됨 4. 폴더 선택폴더만 선택해주면 5. 연결완료github파일 불러오기 성공 2024. 12. 29. git branch 개념정리 git add와 git commit 보다 헷갈리는 git branch ㅎㅎ한 번 정리해보겠다 1. git branch란 branch는 프로그램 복사본 이라고 생각하면 됨원래 있던 소스 코드를 만들어서 먼저 개발을 한 번 해보고 싶은 경우 2. git branch 1) 브랜치 생성git branch 브랜치명 abc로 작명한다면현재 abc라는 복사본이 만들어짐 2) 브랜치로 이동git switch 브랜치명 3) git statusgit의 상태창을 확인하면 branch abc에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git status는 현재 작업 공간 확인 가능함 그럼 현재 이 창은 branch의 창이기 때문에 나중에 master 창으로 돌아가면 이때 만든 파일은 사라짐 4) 새로 생성한 bran.. 2024. 12. 28. git diff 와 vscode git기초 배우기 깃 내용들 확인 하는 방법 알아보자이전 git add와 commit 은 git&github 카테고리를 들어가면 확인 가능함 1. git add와 git commit과 동일하게 작용하는 vscode 사용하기 내용을 변경하고 저장하면 에디어테 변경사항이 기록됨 + : gitt add 가능- : git add 취소 가능함 체크 버튼 : 커밋 -> 폴더가 많고 파일이 복잡하면 vscode 쓰는게 유리함 2. commit 전에 현재 파일 vs 최근 commit 차이점 확인 : git diff vs git difftool새로 고친부분이 맞는게 재확인후 commit -> 좋은 습관임 1) git diff를 사용하면 최근 commit과 현재 파일의 차이점을 보여줌 j/k 스크롤바 조절q는 종료엔터키와 스페이스.. 2024. 12. 2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