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엔지니어링 분야 공부하면서 계속 언급되는 ci /cd
유튜브에서 괜찮은 강의를 찾아서 개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CI / CD 란?
개발 부터 배포까지 모든 단계를 자동화로 통해서 효율적으로 작업하는 것
CI : 지속적인 통합
CD : 지속적인 배포
2. CI
계속 메인 Repository에 merge되고 빌드되는 것 ( Bulid , Test )
1) 코드 변경 사항을 주기적으로 빈번하게 머지해야한다
- 작은 단위로 나눠서 머지하는 것이 중요함
2) 통합을 위한 단계 (빌트, 테스트, 머지) 의 자동화
main에서 변경사항을 merge를 하는데
자동으로 CI 스크립트로 자동적으로 test가 잘되는지 확인 하는 기능
-> 빨간불이 발생하면 만든 개발자에게 알람이 전달됨
- 작은 단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있음
- 코드 퀄리티 향상함
3. CD
- 지속적인 제공(delivery) & 지속적인 배포(deployment)
- CI에서 테스트를 하고 최종적으로 배포 해도 되겠다 라는 판단이 서면
수동적으로 배포하는 단계를 말함 (자동적으로도 가능함)
4. CI/CD 는 동시에 작동함
[참고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0Emq5FypiMM
반응형
'Data 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api pytyhon 클라이언트 사용방법 Google Cloud Secret Manager (2) | 2025.01.02 |
---|---|
하드코딩과 소프트코딩 차이점 및 개념 (0) | 2025.01.01 |
가상환경 연결방법 django 활용법 (0) | 2024.12.25 |
blizzard api 수집해보기 (0) | 2024.12.23 |
RAWG API 탐색하기 (0) | 202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