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번 쓰는 주피터 저학년일 때는 그냥 코드쓰기만 바빴는데 이제는 노션을 매번 쓰다보니 마크다운을 자동으로 쓰게 된다
아무튼 요즘 주피터도 자주 써서 한 번 정리 해봤다
1. #을 사용하여 제목을 작성
# 제목 1
## 제목 2
### 제목 3
#### 제목 4
##### 제목 5
###### 제목 6
쥬피터에서 창에 이렇게 입력하고
m을 누르면
이렇게 되는 걸 볼 수 있다
2. 글꼴 스타일
- 굵게: **텍스트** 또는 __텍스트__
- 기울임: *텍스트* 또는 _텍스트_
취소선: ~~텍스트~~
**굵게**
*기울임*
~~취소선~~
3. 목록
순서 없는 목록
- 항목 1
- 항목 2
- 하위 항목 1
- 하위 항목 2
#-, +, *를 사용
순서 있는 목록 : 숫자와 점(.)을 사용
1. 첫 번째 항목
2. 두 번째 항목
1. 하위 항목 1
2. 하위 항목 2
4. 링크
[링크 텍스트](URL)
![이미지 대체 텍스트](이미지 URL)
5. 코드
```python
print("Hello, Markdown!")
6. 인용
---
### **6. 인용**
`>`를 사용합니다.
```markdown
> 인용문
>> 중첩된 인용문
7. 구분선
---, ***, 또는 ___을 사용
---
8. 테이블
| 와 - 사용
| 헤더1 | 헤더2 | 헤더3 |
|-------|-------|-------|
| 값1 | 값2 | 값3 |
| 값4 | 값5 | 값6 |
9. 체크박스
- [ ](미완료)와 - [x](완료)를 사용
- [ ] 할 일 1
- [x] 할 일 2
10. 주석
<!-- 여기는 주석입니다 -->
11. 확장기능
- 수학식(LaTeX): $수식$ 또는 $$수식$$
- 표시 강조: ==텍스트==
- 각주: [텍스트](^참조)
반응형
'데이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 소스 제어 활용 / 병합 충돌 해결하기 (0) | 2025.02.06 |
---|---|
melt()를 활용한 데이터 변환과 플롯 시각화 (0) | 2025.02.05 |